해상과 육상의 접점인 항만에 위치하는 컨테이너 터미널은 컨테이너 화물의 본선하역, 보관, 트럭, 철도에의 컨테이너 인수도, 컨테이너의 장치, 공컨테이너의 집화, 컨테이너의 수리 및 청소 등의 제반기능을 수행하는 장소이다.
장비명 | 용도 |
---|---|
컨테이너 크레인 (Container Crane) |
부두의 안벽 위에 설치되어 컨테이너 선박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거나 부두에 있는 컨테이너를 선박에 선적하는 장비 |
트렌스퍼 크레인 (Transfer Crane) |
야드에 운반되어진 컨테이너를 적재 또는 반출하는데 사용되는 장비로서 많은 양(5단6열)의 컨테이너를 적재할수 있음 |
스트래들 캐리어 (Straddle Carrier) |
부두 또는 야드에서 컨테이너를 적재 또는 반출하는데 사용되는 장비로서 적은 양(3단1열)의 컨테이너 적재에도 사용됨 |
야드 트랙터 (Yard Tractor) |
부두와 야드 사이에서 야드샤시를 견인하여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장비 |
리치 스텍커 (Reach Stacker) |
부두 또는 야드에서 컨테이너를 직접 운반하여 적재하거나 반출하는데 사용되는 장비로서 컨테이너를 적재에도 사용됨(5단3열) |
야드사시 (Yard Chassis) |
부두와 야드 사이에서 야드 트랙터에 의해 파견인되어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장비 |
쉽언로다 (Ship Unloader) |
주로 포장되지 않은 화물(양곡, 석탄, 고철 광석 등)의 하역 및 선적작업에 사용 되는 장비(그라브버켓식, 연속하역식 등) |
스텍커 리크레이머 (Stacker Reclaimer) |
벨트컨베이어에 의해 운반되어진 화물(양곡,석탄,광석등)을 지정된 야적장에 적치하거나 외부로의 빈출작업에 사용되는 장비 |
벨트 컨베이어 | 쉰업로더, 스테커 리크레이머, 호퍼 등의 장비와 연계하여 원거리까지 화물을 운반하는 장비 |
다목적 크레인 | 주로 비규격 중량화물 또는 여러 종류의 화물 취급 용도의 장비 |
모빌하버크레인 (Mobile Harbor Crane) |
일반 육상크레인과 유사하고 이동성이 좋으며 여러 종류의 화물하역 및 선적 작업에 사용되는 장비 |
컨테이너는 소유형태, 재질, 용도 및 크기 등에 따라 분류가 다르며, 특히 용도에 따라 일반용, 액체용, 자동차용, 냉동용, 보온용 등 여러 종류가 있다.
구분 | 종류 |
---|---|
규격 | 20feet(TEU), 40feet(FEU), 45feet(Jumbo) 등 |
소유형태 | 선사소유, 리스회사소유, 화주소유 |
재질 | Aluminium Container, Steel Container, Plywood/Fiber Plastic Container(FRP) |
용도 |
Dry Cargo Container, Refrigerated Container, Tank Container Open Top Container, Flat Rack Container, Live Stock Container |
종류 | 특징 |
---|---|
드라이 컨테이너 (Dry Container) |
온도조절이 필요하지 않은 화물에 이용되는 컨테이너로 일반잡화 수송에 적합 |
냉동 컨테이너 (Reefer Container) |
냉동화물 및 과실, 채소 등 보냉을 필요로 하는 화물을 수송하기 위한 컨테이너로 온도조절은 보통 +26도에서 -28도 사이에서 조정이 가능 |
벌크 컨테이너 (Solid Bulk Container) |
맥아(Malt), 소맥분 등의 분체 또는 분상태의 화물 수송에 적합도록 천장에 구멍이 있고 내부는 FRP로 가공되어 있어 청소가 용이하며 외부 온도 변화에 대한 영향이 드라이 컨테이너 보다는 적은 컨테이너 |
오픈 탑 컨테이너 (Open Top Container) |
기계류, 강제품, 판유리 등의 중량화물 적립에 적합한 컨테이너로서 천장은 뗐다 부쳤다 할 수 있는 수밀성이 높은 캔버스(canvas) 덮개로 되어 있고 크레인으로 컨테이너의 상부에서 화물을 하역하는 특징이 있음. |
플랫랙 컨테이너 (Flat Rack Container) |
드라이 컨테이너의 천장과 측벽을 제거한 모양으로 양측벽도 뗐다 붙였다 할 수 있어 바닥과 사주만의 형태가 된다. 따라서 기계류, 강재, 원목 등의 중량화물을 전후좌우 또는 상방에서 지게차로 하역할 수 있음. |
탱크 컨테이너 (Tank Container) |
장유, 유류, 화학약품 등 유체화물을 수송하기 위해 Tank를 준비한 컨터이너로써 일반용, 위험화물용, 고압가스용 등이 있고 고압, 저압, 보온설비나 가열설비를 갖춘 것도 있음. |
컨테이너의 문 우측 상단에는 최대총중량 등을 기록한 제원의 표찰이 부착되어 있으나 도로법 및 도로교통법 등 현재 국내에서 적용하는 과적차량 단속기준 때문에 최대 총중량 만큼을 싣지 못한다. 그러므로 화물적입시 컨테이너의 자체중량(自體重量)과 화물의 중량 뿐만 아니라 적입시에 사용하는 파렛트(pallet)24), 던니지(dunnage)25) 및 내장화물을 고정시키는 모든 자재의 중량 등도 특히 고려하여야 한다.